무상증자 뜻 그리고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이 포스팅은 무상증자 뜻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글입니다. 주식을 하다가 보면 무상증자라는 고시를 하는 회사들이 있습니다. 그럼, 무상증자는 어떤 뜻이고 이후 대부분의 주식이 어떻게 되는지 한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무상증자 뜻

무상증자 뜻

무상증자는 일단 내가 추가적인 돈을 내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기업이 돈을 아주 잘벌어서 회사에 돈이 많이 모여있다고 생각해보죠. 그걸 보통 잉여금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 잉여금이 너무 많으면 투자를 하거나 배당을 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잉여금을 그 기업의 주식으로 발행해서 자본금을 늘릴수도 있습니다. 그걸 바로 무상증자라고 합니다.

그런 돈으로 주식을 증가시켜 주주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줍니다. 무상으로 말이죠

만약에 1:1 무상증자를 한다고 치면 내가 100주를 가지고 있으면 100주를 더 받는 형식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게 내가 만 원에 100주를 가지고 있지만 100주를 무상으로 받는다고 해도 그 100만 원은 그대로입니다.

이유는 그 기업의 시가총액은 그대로입니다. 위에도 말했지만, 무상증자는 자본금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자본금을 늘리지만 시가 총액은 그대로기 때문에 1:1이라면 주식의 값은 반으로 줄어듭니다. 5천 원이 되는 거죠.

하지만 회사의 돈이 주식으로 희석되어 자본금이 늘어나면 기업의 평가는 좋아지기 마련입니다.

무상증자 할수있는 상황

무상증자는 위에서도 말했지만 잉여금이 있어야 할수 있습니다. 그 잉여금은 자본준비금일수도 있고 이익준비금일수도 있습니다.

그런 돈이 있을때 주주총회를 열어 승인을 걷쳐 확정 후 무상증자를 할수 있습니다. 이후 전자공시시스템으로 공시를 합니다.

무상증자 권리락

무상증자를 결정하고 고시했다면 누구에게 무상증자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보통은 신주배정기준일이라고 합니다. 2023년 11월 1일이 신주배정기준일이라고 한다면 내가 그때 주식을 가지고 있다면 무상증자를 받는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다음 날인 2023년 11월 2일은 신주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라지게 됩니다. 바로 그날이 권리락 일이 됩니다.

무상증자 후 주가

위에서 말했지만, 무상증자 후주가는 무상증자 비율에 따라 감소합니다. 1:1이라면 반값으로 줄어들고 1:2라면 1/3만큼 줄어드는 가격으로 무상증자 후 주가가 결정됩니다.

보통 이건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하지만 무상증자 후 주가는 떨어진 가격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보통 원래의 가격을 찾아갈 거로 생각하는사람들에 의해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몇 가지를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첫 번째 잘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이 기업의 총액은 그대로입니다. 주식의 수가 늘어났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진 거지 그 기업이 더 많은 이익을 내고 순간적인 이슈로 떨어진 가격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두 번째 과연 기업이 잉여금이 너무 많아 자본금을 늘리고 주가를 저렴하게 보이려고 하는 이유가 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재무 상황을 더욱더 꼼꼼히 살펴봐야 하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세 번째 이미 무상증자 고시 이후 가격이 많이 상승했다면 아마 무상증자 완료 후 이득을 보고 빠져나가는 분들이 많은 것을 예상하고 대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

주식을 하다가 보면 누구나 이런 이벤트를 겪어 본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몇번의 다른 증자를 겪어 보왔지만 주가의 흐름은 정말 알수 없다고 빡에 생각이 안듭니다. 호재일수도 악재일수도 있지만 대부분 호재로 받아드리는 경우가 많은거 같습니다.

주식을 한다면 누구나 알아야 하고 미리 대비해야 하는 용어에 대해 이야기해봤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주식용어 정리 : PER 뜻, PBR 이란 무엇을 말하나?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