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EUV 관련주 완벽 분석 | 대장주·장비는 어떤 것이?

EUV(극자외선) 기술은 5나노 이하 반도체 공정의 핵심입니다. 2025년 주목해야 할 EUV 관련주, 대표적인 EUV 대장주와 EUV 장비 관련주, 투자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글의 요약

  1. EUV(극자외선) 노광 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초미세 공정의 필수 기술이며, 관련 기업들의 성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2.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EUV 대장주와 더불어 동진쎄미켐, 에프에스티 등 EUV 장비 관련주가 핵심 투자처로 떠오른다.
  3. 2025년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반도체 투자 확대가 본격화되는 시점으로, EUV 관련주는 장기 성장성이 가장 높은 섹터 중 하나다.

1. EUV 기술의 의미와 글로벌 산업에서의 위치

1. EUV 기술의 의미와 글로벌 산업에서의 위치

반도체 기술의 발전은 곧 전 세계 IT 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을 형성합니다.

그 중심에는 초미세 공정 기술이 있으며, EUV(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극자외선 노광 기술)가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EUV는 기존 DUV(Deep Ultraviolet, 심자외선)보다 훨씬 짧은 13.5nm 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반도체 칩에 더 얇고 정밀한 회로를 새길 수 있도록 합니다.

기존 공정은 10나노 이하에서는 기술적 한계가 뚜렷했으나,

EUV는 이를 뛰어넘어 7나노, 5나노, 나아가 3나노 이하까지 구현이 가능합니다.

이는 곧 스마트폰 AP, AI 반도체, 서버 칩, 자율주행 반도체 등 고성능 반도체 시장을 지배하는 핵심 기술로 연결됩니다.

현재 EUV 노광 장비는 네덜란드의 ASML이 전 세계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 대당 가격이 약 2,000억 원 이상일 정도로 고가이며,

연간 생산량도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ASML 장비를 확보한 기업만이 초미세 공정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 EUV 기술은 단순히 한 기업의 장비 독점이 아니라,

이를 둘러싼 소재·부품·검사 장비의 생태계 전체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PR), 펠리클, 마스크 블랭크, 고순도 케미컬, 노광 후 검사 장비까지 모두 EUV 공정의 필수 요소입니다.

한국에는 이러한 생태계를 구성하는 강소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으며,

이들이 바로 EUV 관련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2. EUV 대장주 집중 분석

2. EUV 대장주 집중 분석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019년 세계 최초로 7nm EUV 공정을 적용하여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현재는 3nm GAA(Gate-All-Around) 공정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며,

EUV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투자 포인트
    • 평택 P3, 용인 클러스터 등에서 EUV 전용 라인 확대
    •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와 경쟁하며 기술 격차 축소
    • 메모리 반도체(DDR5, HBM3E)에 EUV 도입 확대

삼성전자는 단순한 파운드리 기업이 아니라,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동시에 EUV에 적용하는 유일한 글로벌 기업이라는 점에서 대장주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세계 2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특히 HBM3와 DDR5 등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서 EUV를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 투자 포인트
    •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AI 기업에 HBM3 공급
    • DDR5 DRAM 생산에 EUV 확대 적용
    • AI 반도체 수요 급증에 따른 메모리 증설

SK하이닉스는 특히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와 긴밀히 협력하며,

EUV 활용도를 빠르게 높이고 있습니다.

TSMC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TSMC는 이미 5나노, 3나노 공정에서 EUV를 적용하며 글로벌 고객사(애플, 엔비디아, AMD, 퀄컴)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나노 공정에도 EUV를 확대 적용할 예정입니다.

인텔

인텔은 오랜 부진을 겪었지만, 2025년 18A 공정(1.8nm)에서 EUV 도입을 본격화합니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지원 정책을 바탕으로 TSMC와 삼성전자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정리: EUV 대장주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인텔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가장 직관적이고 안정적인 투자처입니다.


3. EUV 장비 관련주 집중 분석

3. EUV 장비 관련주 집중 분석

포토레지스트 관련주

포토레지스트(PR)는 반도체 회로를 새길 때 감광재 역할을 하는 핵심 소재입니다.

EUV용 포토레지스트는 난도가 높아 일본 의존도가 높았으나,

최근 국산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습니다.

  • 동진쎄미켐: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EUV 포토레지스트 국산화에 성공
  • 솔브레인: 화학 소재 강자, EUV PR 원재료 공급
  • SK머티리얼즈: 고순도 케미컬, 포토레지스트 원재료 생산

펠리클 관련주

EUV 펠리클은 포토마스크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얇은 막으로, 기술 난도가 매우 높습니다.

  • 에프에스티(FST): 세계 최초 EUV 펠리클 개발에 성공한 기업 중 하나
  • 제우스: EUV 장비용 펠리클과 부품 공급

검사 장비 관련주

노광 이후 회로가 제대로 새겨졌는지 검사하는 장비도 필수입니다.

  • 한미반도체: 검사 장비, TSV 장비 글로벌 경쟁력
  • 에스에프에이: 자동화 장비, EUV 공정 라인 공급
  • 주성엔지니어링: 증착 장비, 차세대 공정 대응

투자 포인트

EUV 장비 관련주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투자 확대와 동반 성장합니다.

특히 펠리클, 포토레지스트 국산화는 일본 의존도를 줄이는 국가 전략과도 직결되므로,

장기 성장성이 매우 높습니다.


4. 글로벌 EUV 시장 동향과 한국의 기회

4. 글로벌 EUV 시장 동향과 한국의 기회

미국

  • 인텔, TSMC, 삼성전자가 모두 미국 내 EUV 라인을 건설 중
  • AI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라 정부 지원 강화

일본

  • 포토레지스트 세계 강자 JSR, TOK 보유
  • 그러나 한국·미국이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

유럽

  • ASML이 독점 공급자로 전략적 가치 급등
  • EU 차원에서 반도체 자립 프로젝트 진행

한국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세계 최대 규모 조성
  • K-반도체 전략으로 국산 장비·소재 기업 지원

5. EUV 관련주 투자 전략과 리스크

5. EUV 관련주 투자 전략과 리스크

투자 전략

  1. 대장주 중심 안정 투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2. 장비·소재 성장주 발굴: 에프에스티, 동진쎄미켐, 한미반도체
  3. ETF 분산 투자: 글로벌 반도체 ETF로 ASML, TSMC 포함

리스크

  • 경기 변동성: 반도체 사이클 영향
  • ASML 독점: 장비 국산화 어려움
  • 정책 리스크: 미·중 갈등, 수출 규제

대응

장기적 관점에서 분산 투자, 업황 저점에서 매수, 소재·장비주와 대장주를 혼합 포트폴리오 구성


결론: 2025년 EUV 관련주는 반도체 산업의 성장 엔진

2025년은 EUV가 본격적으로 3nm 이하 공정에서 상용화되는 시점입니다.

  • EUV 대장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인텔
  • EUV 장비 관련주: 동진쎄미켐, 에프에스티, 한미반도체, 제우스

투자자는 EUV 관련주를 단기 테마가 아닌, 장기 성장 산업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A

EUV 관련주는 왜 주목받나요?

EUV는 5나노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의 필수 기술로, AI·스마트폰·서버 등 첨단 산업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EUV 대장주는 어떤 기업인가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인텔이 대표적인 EUV 대장주입니다.

EUV 장비 관련주는 누구인가요?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에프에스티, 한미반도체, 제우스 등이 있습니다.

EUV 장비는 누가 공급하나요?

네덜란드의 ASML이 전 세계 EUV 노광기를 독점 공급합니다.

EUV 관련주 투자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반도체 사이클 변동성, 특정 기업 의존도, 미·중 갈등 등 정책 리스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참고 자료

  1. ASML 공식 리포트
  2. 삼성전자 반도체 뉴스룸
  3. SK하이닉스 IR 자료
  4. 산업통상자원부 K-반도체 전략

이 블로그는 개인적인 투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며,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