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XL 관련주, 대장주부터 미국주식까지 완전 정복

AI, 데이터센터, 고성능 컴퓨팅(HPC)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차세대 인터커넥트 기술인 CXL(Compute Express Link)이 반도체 시장의 중요한 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CXL은 메모리 병목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CXL 기반 장비 및 플랫폼을 상용화하는 기업들이 CXL 관련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CXL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되면서,

국내외 주식시장에서도 CXL 관련주 대장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CXL 기술 개요부터 수혜 기업, 미국 주식 중심의 대표 종목, 그리고 한국 증시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까지 총망라합니다.


글의 요약

  • CXL은 CPU와 가속기, 메모리 간 고속 연결을 지원하는 차세대 인터커넥트 기술로, 데이터센터와 AI 서버의 성능을 극대화함.
  • 미국에서는 Marvell, SMART Modular Technologies, Netlist가 대표적인 CXL 관련주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음.
  • 국내에서는 네오셈, 아나패스, 티에스이 등 메모리 테스트 및 반도체 검사 장비 업체들이 CXL 기술 상용화에 따른 수혜 기대.

1. CXL 기술이란? 왜 주목받고 있을까?

1. CXL 기술이란? 왜 주목받고 있을까?

CXL(Compute Express Link)은 차세대 데이터센터를 위한 고속 인터커넥트 기술로,

CPU와 GPU, FPGA, 메모리 장치 간에 저지연·고대역폭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입니다.

기존의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지만,

메모리 공유와 일관성 유지, 지연 최소화 측면에서 한층 진화한 기술입니다.

CXL의 핵심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 CXL.io: PCIe 기능과 호환되는 기본 입출력 통신 프로토콜
  • CXL.cache: CPU와 장치 간 캐시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
  • CXL.mem: CPU와 장치 간 메모리 액세스를 위한 프로토콜

특히 CXL.mem 기능을 통해 서버 간 메모리를 풀링(pooling)하고 공유함으로써,

고성능 AI 서버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24년 이후 CXL 3.0 및 3.1 버전이 등장하면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사업자와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들이 본격적으로 관련 장비와 모듈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2. CXL 관련주 대장주 – 미국 시장에서의 강자들

2. CXL 관련주 대장주 – 미국 시장에서의 강자들

1) Marvell Technology (NASDAQ: MRVL)

  • 역할: Structera™ 브랜드로 CXL 2.0/3.0 플랫폼을 상용화
  • 기술력: AMD EPYC, Intel Xeon Scalable CPU와 상호운용성 확보
  • 전망: 대형 데이터센터 고객 확대 및 고성능 스토리지용 CXL 칩셋 수요 증가 예상

Marvell은 CXL 제품을 선도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CXL 관련주로,

인텔·AMD의 차세대 서버 칩셋과의 통합 테스트도 완료한 상태입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는 실적 반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 SMART Modular Technologies (NASDAQ: SGH)

  • 역할: 메모리 모듈 및 CXL 기반 Add-In Cards(AIC) 공급
  • 특징: CXL 2.0 호환 DIMM 제품군을 출시하며 CXL Consortium 공식 목록 등재
  • 전망: OEM 및 서버 제조사 대상 공급 확대 기대

SMART Modular는 자체 개발한 고용량 CXL 메모리 제품을 통해 서버 메모리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의 협력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3) Netlist Inc. (OTC: NLST)

  • 역할: 고성능 DRAM과 HybriDIMM 기술 보유
  • 기술력: 삼성전자와의 특허 계약을 기반으로 CXL 인터페이스 적용 제품 개발 중
  • 의의: 메모리와 스토리지를 결합한 차세대 DIMM 구조에서 핵심 역할 수행

Netlist는 현재 OTC 시장에 상장된 상태이나,

보유 특허 및 대형 메모리 제조사들과의 협력 이력으로 인해 CXL 시장에서 전략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3. 미국 외 글로벌 주요 기업

3. 미국 외 글로벌 주요 기업

CXL 기술은 Intel, AMD, SK하이닉스, Samsung, Micron, Rambus, Synopsys 등 대형 반도체 및 IP 설계기업들에 의해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특히 Intel은 CXL 표준화를 주도한 기업으로서,

5세대 Xeon Scalable CPU부터 본격적인 CXL 지원을 시작했으며,

AMD 역시 EPYC 시리즈에서 이를 채택했습니다.

Micron, SK하이닉스는 차세대 서버 DRAM에 CXL 호환성을 적용하고 있으며,

Rambus는 CXL 캐시 및 인터페이스 IP 공급사로서 반도체 설계 기업들과 협력 중입니다.


4. CXL 관련 국내 종목

4. CXL 관련 국내 종목

1) 네오셈 (253590)

  • 분야: 메모리 반도체 테스트 장비 제조
  • 특징: CXL 메모리 테스트 장비 개발 중, 글로벌 고객사 대상 납품 준비
  • 전망: CXL 메모리 상용화 본격화 시점(2026년 이후)에 실적 반영 기대

2) 티에스이 (131290)

  • 분야: 반도체 검사 소켓 및 핸들러 제조
  • 기술력: CXL 메모리 모듈 검사 대응 제품군 확보
  • 의의: 메모리 구조 변경에 따른 신규 장비 수요 유입 가능

3) 아나패스 (123860)

  • 분야: 고속 인터페이스 칩셋 설계
  • 특징: CXL-PCIe 변환 칩 및 PHY 개발 중
  • 전망: 장기적으로 CXL 기반 서버/스토리지 인터페이스 칩 수요에 편입될 가능성

5. CXL 관련주 투자 전략

5. CXL 관련주 투자 전략

CXL 기술은 여전히 초기 확산 단계에 있으며,

2025년~2026년 사이가 상용화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단기적인 주가 모멘텀보다는,

기술 상용화 시점과 실적 반영 시점에 따른 중장기 투자 전략이 유효합니다.

투자 시 체크포인트

  1. CXL 2.0 이상 플랫폼 보유 여부
  2. AMD/Intel 서버 CPU와의 호환성 인증 현황
  3. OEM 대상 상용 공급 경험 여부
  4. 메모리·스토리지 결합 솔루션 개발 능력
  5. 삼성·하이닉스 등 대형 메모리 업체와의 연계성

Q&A – CXL 관련주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CXL 관련주는 지금 사도 되나요?

CXL 기술은 아직 상용화 초기 단계이므로, 지금은 분할 매수로 포트폴리오 구성을 고려할 시기입니다. 기술 개발 진척도와 공급계약 여부를 관찰하며 투자하세요.

미국주식 중 가장 주목할 종목은?

Marvell Technology가 대표적인 대장주입니다. 실제로 AMD 및 Intel CPU와 호환되는 CXL 플랫폼을 상용화했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대장주는 어디인가요?

현재는 네오셈이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티에스이, 아나패스도 CXL 관련 기술 보유로 인해 수혜주로 거론됩니다.

CXL과 PCIe 차이는 뭔가요?

CXL은 PCIe 위에서 동작하지만, 메모리 공유와 캐시 일관성 보장이라는 기능이 추가된 기술입니다. 특히 CXL.mem은 메모리 풀링이 가능한 핵심 기술입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도 관련주인가요?

물론입니다. 두 기업 모두 CXL 메모리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실제 서버 공급업체와 테스트 중입니다. 다만, 직접적 모멘텀보다는 중장기 실적 반영이 기대됩니다.


결론 – CXL 관련주는 고성장 AI 시대의 핵심 기술주

CXL 기술은 단순한 반도체 트렌드가 아니라,

AI·클라우드·데이터센터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CXL 관련 대장주인 Marvell을 중심으로,

SMART Modular, Netlist 등 미국주식이 가장 먼저 움직이고 있으며,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서서히 관련주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기 이슈에 흔들리기보다는,

기술력과 수요 기반을 가진 기업을 중심으로 중장기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타이밍입니다.


참고 자료

이 블로그는 개인적인 투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며,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