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C 관련주: 표적항암제 시장의 유망주를 알아보다

최근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항암 치료 기술 중 하나는 바로 ADC(Antibody-Drug Conjugate, 항체-약물접합체)입니다.

ADC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부작용은 줄이고,

암세포에 더욱 정밀하게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앞다투어 기술 개발과 인수를 이어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 기술을 개발하거나 생산 플랫폼을 확보한 ADC 관련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DC 기술의 원리부터 국내 주요 ADC 관련 기업,

그리고 투자 시 유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까지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글의 요약

  • ADC 항암제는 항체와 세포독성 약물을 결합한 차세대 표적항암제로 부작용은 낮추고 암세포 파괴력을 높인 기술입니다.
  • 국내 주요 ADC 관련주는 리가켐바이오에이비엘바이오와이바이오로직스지놈앤컴퍼니동아에스티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있으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ADC 기술과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 글로벌 ADC 시장은 2028년까지 3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기업들의 기술이전CDMO 계약글로벌 협업 등이 투자 판단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ADC란 무엇인가? 기술 개념과 의의

ADC란 무엇인가? 기술 개념과 의의

ADC는 항체(Antibody)와 세포독성 약물(Drug),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해주는 링커(Linker)로 구성된 차세대 표적항암제 기술입니다.

기존 항암제는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부작용이 크지만,

ADC는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겟팅하기 때문에 치료 효율은 높고 부작용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핵심 구조

  • 항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적 기능
  • 링커: 항체와 약물을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물
  • 세포독성 약물: 암세포 내부에 전달되어 세포를 사멸시키는 강력한 항암 물질

현재 ADC 치료제는 유방암, 폐암, 혈액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종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00억 달러에서 2028년 300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대표 ADC 관련주 TOP 6

국내 대표 ADC 관련주 TOP 6

1. 리가켐바이오 (LegoChem Biosciences)

리가켐바이오는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ADC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자체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여러 건의 기술이전을 성사시켰으며,

그 중 일부는 다국적 제약사들과의 대형 계약으로 이어졌습니다.

  • 주요 기술: ConjuAll™, Site-Specific ADC 플랫폼
  • 성과: 얀센과의 기술이전 계약(최대 2조원 규모), 복수의 글로벌 파트너와 공동 개발
  • 투자 포인트: 기술이전 다수, 임상 진입 파이프라인 보유, 안정적 수익 기대

2. 에이비엘바이오 (ABL Bio)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ADC 기술도 병행 개발 중입니다.

시나픽스의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도입하여 ADC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술: Grabody™ 플랫폼, 이중항체-ADC 융합 기술
  • 주요 파이프라인: ABL201, ABL103 등
  • 투자 포인트: 다중 항원 ADC, 파트너십 확장, 면역항암제 병용 연구
국내 대표 ADC 관련주 TOP 6

3. 와이바이오로직스 (Y-Biologics)

항체 발굴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항체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최근 ADC 기술을 활용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술: ALiCE 플랫폼 기반 항체 디스커버리
  • 개발 현황: ADC 파이프라인 비임상 단계
  • 투자 포인트: 기술력 검증 단계, 중장기 성장주

4. 지놈앤컴퍼니 (Genome & Company)

지놈앤컴퍼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 기업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ADC 기술을 활용한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술: GENA 플랫폼, CD239·CNTN4 타겟 ADC
  • 파트너: 미국 LCB Therapeutics 등과 협업
  • 투자 포인트: 다각화된 신약 기술, 면역항암제와의 융합 가능성

5. 동아에스티 (Dong-A ST)

동아에스티는 ADC 기술을 보유한 앱티스(Aptis)를 인수하여 ADC 시장에 본격 진출했습니다.

기존 항생제, 당뇨 치료제 분야에서 확보한 R&D 역량을 ADC 영역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 주요 전략: ADC 링커 기술 내재화, CDMO 연계 확대
  • 기대효과: 파이프라인 확보 및 기술 수출 기반 마련

6. 삼성바이오로직스 (Samsung Biologics)

삼성바이오로직스는 ADC 후보물질을 개발하지는 않지만,

ADC 의약품의 생산(CDMO)을 담당하는 핵심 글로벌 기업입니다.

ADC 전용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빅파마들과의 계약을 지속 확대 중입니다.

  • 역할: ADC 수탁생산 전문 (CDMO)
  • 기술: 첨단 링커-페이로드 결합 기술 기반 공정 구축
  • 투자 포인트: 글로벌 위탁생산 시장 선점, 장기적 매출 기반

글로벌 시장과 비교: 한국 기업의 강점은?

글로벌 시장과 비교: 한국 기업의 강점은?

비교 항목글로벌(미국/유럽)한국
기술 수준상업화 다수 진행임상 1~2상 중심
시장 점유율글로벌 빅파마(로슈, 아스트라제네카 등) 독점신흥 바이오 중심 성장
수익 구조신약 판매 중심기술이전, CDMO 중심
장점자본력, 마케팅, 임상 인프라유연한 기술개발, 낮은 인건비, 라이선스 전략

투자 시 유의사항

  1. 임상 단계 확인 필수: 비임상, 임상 1상, 임상 2상 진입 여부에 따라 주가 변동 폭이 큽니다.
  2. 기술이전 계약의 실현성: 계약금과 마일스톤 지급 구조, 실현 가능성 체크 필요
  3. 글로벌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 분석: 페이로드 독성 강도, 링커 안정성, 항체 특이성 등 기술적 평가 중요
  4. CDMO 기업은 수익구조와 설비 가동률 확인: 단순 수주 계약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장기 계약 여부 파악

Q&A

ADC 항암제는 일반 항암제보다 얼마나 더 효과적인가요?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타격하기 때문에 부작용은 줄고 치료 효율은 높습니다. 특히 기존 치료에 내성이 생긴 환자에서도 효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기술이전 계약은 왜 중요한가요?

신약 상업화까지는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기술이전 계약이 단기 수익과 파이프라인 가치를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CDMO 기업도 관련주인가요?

ADC 치료제 생산은 고난도 공정이 요구되므로, 생산 인프라를 갖춘 CDMO 기업도 주요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국내에서 상용화된 ADC 항암제가 있나요?

현재 국내 기업 중에서 자체 개발한 ADC 항암제가 승인된 사례는 없으며, 대부분은 임상 단계이거나 기술이전 상태입니다.

ADC 항암제와 면역항암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면역항암제는 면역체계를 활용해 암을 제거하는 방식이고, ADC는 항체를 통해 약물을 직접 암세포에 전달하여 치료하는 방식입니다.


참고 자료

이 블로그는 개인적인 투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며,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