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카메라모듈 관련주 | 글로벌 업체 순위부터 투자 전략까지

2025년, 스마트폰을 넘어 자율주행차와 XR(확장현실) 기기까지 카메라모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 관련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꾸준히 상승 중인데요.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고배율 줌 카메라, 자율주행차의 전방·측방 인식 시스템,

메타·삼성·애플의 혼합현실(MR) 기기 등에 고성능 모듈이 대거 탑재되며,

관련 기업들의 실적 전망 역시 빠르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메라모듈 산업의 구조와 수요 트렌드를 살펴본 뒤,

국내외 카메라모듈 업체 순위, 대표 관련주들의 실적과 투자 포인트, 향후 시장 전망과 함께 주의해야 할 리스크까지 총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이 글 하나면 2025년 카메라모듈 관련 투자의 기준이 되어드릴 수 있습니다.


글의 요약

  1. 2025년 카메라모듈 수요는 자율주행차, XR 헤드셋, 고성능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글로벌 시장에서는 LG이노텍이 1위, 중국 써니옵티컬·큐테크가 2,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 국내 관련주로는 LG이노텍, 삼성전기, 파트론, MCNEX 등이 있으며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어 포트폴리오 분산이 중요합니다.

카메라모듈 산업, 왜 주목받을까?

카메라모듈 산업, 왜 주목받을까?

카메라모듈은 단순히 스마트폰에만 들어가는 부품이 아닙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 인식, 가전의 얼굴 인식 보안, 산업용 로봇의 객체 인식,

그리고 VR·AR·MR 기기의 공간 감지까지 활용 범위가 폭넓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하나의 모듈은 렌즈, 이미지센서(CMOS), 액추에이터, FPCB 등으로 구성되며,

기술 집약도가 높고 정밀한 제조가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모듈당 단가도 해마다 상승하고 있는데요,

특히 고배율 줌이나 RGB-IR 듀얼 센서처럼 복합 기능이 들어간 프리미엄 모듈은 ASP(평균 판매 단가)가 일반 모듈의 2배 이상입니다.

2024년 카메라모듈 세계 시장은 약 430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었고,

2028년에는 약 68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연평균 9%에 가까운 고성장 산업이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한 흐름입니다.


글로벌 카메라모듈 업체 순위 Top 10

글로벌 카메라모듈 업체 순위 Top 10

순위기업명본사 국가시장점유율(%)주요 고객사
1LG이노텍대한민국35애플, 메타, GM, Figure AI 등
2Sunny Optical중국12오포, BYD, DJI, 니오(NIO) 등
3Q Technology중국10비보(Vivo), 지리(GEELY), 아너(Honor) 등
4OFilm중국8샤오미, ZEEKR, 산업용 AR 글래스 등
5삼성전기대한민국6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6Luxshare-ICT중국5애플, Xiaopeng Auto
7Sharp (JDI)일본4닌텐도, 애플워치 등
8파트론대한민국3삼성전자, 현대모비스, Amazon Ring 등
9엠씨넥스(MCNEX)대한민국3현대차, 테슬라, 삼성 등
10Cowell Optical홍콩2샤오미, 구글, 오큘러스 등

LG이노텍은 애플 아이폰에 고사양 모듈을 독점 공급하면서 1위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에 1인치 센서와 잠망경 줌 모듈이 적용되며 실적 확대가 기대됩니다.


국내 카메라모듈 관련주 분석

국내 카메라모듈 관련주 분석

1. LG이노텍 (011070)

  • 아이폰 카메라모듈 주요 공급사
  • 차량용·XR용 모듈 비중 확대 중
  • 투자 포인트: 애플 의존도는 높지만 기술 리더십은 글로벌 최상위

2. 삼성전기 (009150)

  • 폴디드줌, 하이브리드 렌즈 등 차세대 기술 확보
  • 모듈보단 MLCC 비중이 크지만 차량용·로봇용 카메라 확대 중
  • 투자 포인트: 스마트폰 시장 외 확장성 기대

3. 파트론 (091700)

  • 차량용 ADAS, 3D 센서 개발 가속화
  • 중저가 스마트폰 비중이 높아 수익성 개선 필요
  • 투자 포인트: 자동차 전장화 흐름의 수혜 예상

4. 엠씨넥스 (097520)

  • 테슬라 및 현대차에 차량용 카메라 공급
  • 생산기지 베트남 확대, 환율 민감 기업
  • 투자 포인트: 전장 부문 본격화

5. 캠시스 (050110)

  • 폴더블 스마트폰용 모듈
  • XR 기기용 신형 카메라 개발 중
  • 투자 포인트: 틈새시장 전략과 소형 모듈 특화

6. 세코닉스 (053450)

  • HUD, 라이다 카메라 등 차량 특화
  • 미국·유럽 완성차와 파트너십 확대
  • 투자 포인트: 북미 수주 확대 및 기술 독립성

기술 트렌드: 폴디드줌, RGB-IR, 액추에이터 혁신

기술 트렌드: 폴디드줌, RGB-IR, 액추에이터 혁신

2025년 이후 주목해야 할 카메라모듈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폴디드줌(Folded Zoom)

미러와 프리즘을 이용해 얇은 두께에서도 고배율 줌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삼성전자와 애플이 채택한 방식으로, 향후 MR 기기에도 응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RGB-IR 듀얼 센서

가시광선(RGB)과 적외선(IR)을 동시에 인식하는 카메라로, 공간 인식이 필요한 XR 기기와 자율주행차에서 필수적입니다.

SMA 액추에이터

기존 볼스크류 방식보다 빠르고 얇게 구현되는 액추에이터 기술로, 향후 초소형·고속 AF 구현에 핵심 기술로 부상 중입니다.


향후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향후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 시장 성장성: 스마트폰은 정체기지만 프리미엄 폰의 다중 카메라 고급화로 모듈당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XR용 수요는 연 10~15% 고성장 중입니다.
  • 밸류에이션 매력: LG이노텍은 PER 12배 수준으로 여전히 저평가 구간이며, 삼성전기도 패키지 기판·MLCC 이외 카메라모듈 부문에서 반등 여지가 있습니다.
  • 리스크 요인: 원/달러 환율 변동, 애플 의존도, 미·중 갈등에 따른 공급망 재편 등은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

카메라모듈 관련주 투자 체크리스트

  1. 애플·삼성 등 주요 고객사 의존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2. 신제품 채택률(예: 폴디드줌, RGB-IR 등)은 어떻게 되나요?
  3. 해외 매출 비중과 생산 거점은 다양하게 분산되어 있나요?
  4. 전장·XR 부문 성장률은 기업 실적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나요?
  5. 모듈 ASP(평균 판매 단가) 상승 여력이 있는 기술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나요?

결론: 선택과 집중의 시점

결론: 선택과 집중의 시점

카메라모듈 산업은 단순히 스마트폰의 부속품을 넘어,

미래형 디바이스와 차량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전략적 부품입니다.

2025년 이후에는 XR 기기와 자율주행 레벨3 이상의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시장이 다시 한번 확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력과 고객 포트폴리오를 균형 있게 갖춘 기업 중심으로 분산 투자하시는 것이 현명한 전략입니다.


Q&A

카메라모듈 관련주는 어떤 종목이 있나요?

국내 주요 종목으로는 LG이노텍, 삼성전기, 파트론, 엠씨넥스, 캠시스, 세코닉스 등이 있습니다.

2025년 카메라모듈 수요가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자율주행차, XR 기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등에 고성능 카메라가 필수 부품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LG이노텍의 최대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애플 매출 의존도가 약 70%로, 아이폰 출하량 변화에 따라 실적이 크게 좌우됩니다.

XR 기기와 카메라모듈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XR 기기의 패스스루 기능에 RGB-IR 듀얼 센서 모듈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차량용 카메라모듈은 어떤 기업이 강자인가요?

엠씨넥스와 파트론이 대표적이며, 북미·유럽 완성차와 협업 확대 중입니다.


참고 자료

이 블로그는 개인적인 투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며,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