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로 떠오른 자율주행 기술. 그 중심에는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 전환, AI 소프트웨어 고도화, 그리고 차세대 센서 기술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서 자율주행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 현대차, 엔비디아, 모빌아이, AI 로봇 기업 등이 대표 수혜주로 떠오르며,
관련 ETF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 개념부터 국내외 자율주행 대장주, ETF 투자법, AI 로봇과의 융합,
그리고 2025년 이후의 산업 전망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글의 요약
- 자율주행 기술은 2025년을 기점으로 레벨 3에서 레벨 4 상용화로 도약 중입니다.
- 국내 대표 자율주행 관련주는 현대차, 모트렉스,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인포뱅크 등입니다.
- 글로벌 시장에선 테슬라, 엔비디아, 모빌아이, 웨이모가 대표주입니다.
- 자율주행 투자 접근은 개별 종목 + ETF + AI 로봇 연계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1. 자율주행 기술 이해하기: 레벨 0~5까지
자율주행 기술은 미국 자동차공학회(SAE) 기준으로 총 6단계(레벨 0~5)로 분류됩니다.
레벨 | 설명 | 현재 상태 |
---|---|---|
레벨 0 | 수동 운전 | 대부분의 일반 차량 |
레벨 1 | 일부 기능 자동화 (크루즈 컨트롤 등) | 대부분 상용차 장착 |
레벨 2 | 운전자 보조 (차선 유지 + 속도 조절) | 현대차, 테슬라 대부분 차량 |
레벨 3 | 조건부 자율 (일정 상황에서 무개입 주행) | 벤츠 S클래스, 현대 제네시스 일부 |
레벨 4 | 고도 자율주행 (일부 구간 완전 자율) | 테스트 중 |
레벨 5 | 완전 자율 (운전자 불필요) | 개발 중, 상용화 미정 |
2025년 이후 상용화될 기술은 레벨 3~4 수준이며,
이 구간에서 시장을 선점하는 기업이 핵심 투자처입니다.

2. 국내 자율주행 관련주 집중 분석
2.1 현대차 (005380)
- 전략: 자율주행 전용 플랫폼 ‘HMGICS’ 구축, 레벨 3 탑재 모델 양산
- 협력사: 앱티브와 합작사 ‘모셔널(Motional)’ 설립
- 주요 모델: 아이오닉 5, 제네시스 G90 레벨3 장착
2.2 현대모비스 (012330)
- 역할: 센서, 라이다, 레이더, 제어시스템 개발 핵심 계열사
- 포인트: 글로벌 자동차 전장 수주 확대, 고성능 라이다 개발
2.3 모트렉스 (118990)
- 제품: ADAS, 블랙박스, HUD, TCU 등 차량용 전장기기
- 성장성: 자율주행차 필수 전장부품 공급사
2.4 모바일어플라이언스 (087260)
- 기술: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SW 플랫폼
- 수혜 포인트: 커넥티드카 솔루션 확대, 자율주행 영상처리 탑재
2.5 인포뱅크 (039290)
- 사업: 자율주행 관제 플랫폼, 스마트시티 연동 시스템
- 미래 전략: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 상용화 중

3. 미국 및 글로벌 자율주행 대장주
3.1 테슬라 (TSLA)
- 핵심: 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 베타’ 지속 업그레이드
- 기술력: 카메라 기반 비주얼 오토파일럿, 신경망 훈련 플랫폼
- 전망: 레벨 4 상용화를 가장 빠르게 진행 중인 기업
3.2 엔비디아 (NVDA)
- 포지션: 자율주행 차량용 SoC, GPU, AI 컴퓨팅 플랫폼 공급
- 주요 고객: 테슬라, BYD,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 수익 모델: Orin 칩, 드라이브 AGX 플랫폼 수요 급증
3.3 모빌아이 (Mobileye, INTC 자회사)
- 제품: ADAS, LiDAR, 자율주행용 EyeQ 칩셋
- 협력사: BMW, 폭스바겐, 중국 니오 등
- IPO 및 독립 경영 체제 진입
3.4 웨이모 (Waymo, 구글 자회사)
- 차별점: 레벨 4 자율주행 로보택시 테스트 상용화
- 지역: 미국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LA 등 일부 도시 운영

4. 자율주행 관련 ETF 투자 전략
ETF는 자율주행 기술이 포함된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분산투자를 제공하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수단입니다.
ETF명 | 구성 종목 예시 | 특징 |
---|---|---|
DRIV |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퀄컴 | 자율주행 + 전기차 혼합형 |
BOTZ | 모빌아이, 인튜이티브서지컬, ABB | 로보틱스 + AI 기반 ETF |
KODEX 미국스마트모빌리티 | GM, 포드, 니콜라 등 | 국내 상장, 미국 스마트 모빌리티 추종 |
TIGER 글로벌자율주행&전기차 | 엔비디아, 바이두, BYD 등 | 글로벌 테마형 ETF |
TIP: ETF는 각 구성 종목의 편입 비중과 리밸런싱 주기를 확인하세요.
5. AI·로봇 융합 자율주행 관련주
자율주행 기술은 AI 로봇과의 융합을 통해 물류, 배달, 순찰, 공장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중입니다.
5.1 유진로봇 (056080)
- 핵심 제품: 자율주행 물류 로봇, SLAM 기반 실내 자율 이동기술
- 적용 산업: 병원, 물류센터, 공항
5.2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 핵심 기술: 인간형 로봇, 외골격 로봇, 협동로봇
- 활용도: 자율주행 경로 생성, 자동 피드백 시스템 연계
5.3 트위니 (290090)
- 주요 사업: 물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 ‘NarGo’ 시리즈
- 비즈니스 모델: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과의 연계
6. 자율주행 관련주 포트폴리오 제안 (30대 투자자 기준)
목표: 3~5년 내 성장 기대 + 기술 상용화 수혜 포트폴리오 예시 (총 1,000만 원)
종목 또는 ETF | 비중 | 투자 목적 |
---|---|---|
테슬라 | 25% | FSD 수혜 |
현대차 | 15% | 국내 대표주 |
엔비디아 | 15% | AI+칩 수혜 |
모바일어플라이언스 | 10% | 자율 SW 개발 |
DRIV ETF | 20% | 분산 투자 |
유진로봇 | 15% | AI 자율주행 로봇 테마 |
Q&A
Q1. 자율주행 관련주는 아직 너무 이르지 않나요?
A1. 일부는 이미 상용화 단계입니다. 레벨 2 ~ 3이 이미 적용되며, 레벨 4 준비 중인 기업은 2025 ~ 2027년 수혜가 기대됩니다.
Q2. 테슬라 외에 믿을만한 자율주행 기업은?
A2. 엔비디아, 모빌아이, 현대차, 웨이모 등이 핵심 기술 보유 기업입니다.
Q3. AI 로봇과 자율주행은 어떤 관계인가요?
A3. 자율이동, 경로 판단, 공간 인식 등 핵심 기술이 중첩되며, AI 로봇 기업은 자율주행 기술 확장의 실현 주체가 됩니다.
Q4. 자율주행 관련 ETF로만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A4. 안정성과 분산 투자 측면에서는 좋지만, 고수익을 원할 경우 개별 종목과 병행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국내 자율주행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A5. 현대차, 현대모비스, 모트렉스, 모바일어플라이언스가 국내 대표 종목입니다.
참고자료
- Investopedia – Self-Driving Car Stocks
- Morningstar – Best Autonomous Driving ETFs
- 미래에셋 TIGER 글로벌자율주행&전기차
-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스마트모빌리티 ETF
- Waymo 공식 홈페이지 – Autonomous Driving
- 엔비디아 자율주행 기술 소개
마무리하며
자율주행 기술은 기술 혁신 + 인프라 구축 + 소비자 수요 확대라는 세 가지 축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미래 산업에 선제 투자할 수 있는 시기이며,
오늘 구성한 포트폴리오와 정보가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자율주행 기술의 혜택을 모두 받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요.